티스토리 뷰
기사에 따르면 연준이 다가오는 6월에는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만약 기준금리가 인하된다면 은행에서 판매하는 예·적금에도 영향이 있게 되는데요.
바로 예·적금의 금리 인상을 멈추는 결과를 초래한 다는 거예요. 그래서 그런지 고금리 막차를 타려고 하는 고객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2024년 3월 중순이 지나면서 어느덧 1분기가 저물어 가고 있는데요. 새해에 다짐했거나 미루고 미루다 3월이 돼서야 비로소 재테크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자 마음먹고 계시지는 않으신가요?
이 시간 2024년 3월 현시점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를 비교 정리했으니 천천히 읽어보시고 예금 가입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에 대해서는 1~10위까지 정리했는데요.
(12개월, 1,000만 원 예치했을 경우)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 주세요.
정기예금 금리 순위는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에서 참고했습니다.
이미지를 보시면 아시다시피 현시점 가장 높은 금리를 자랑하는 은행은 sh수협은행의 헤이(Hey) 정기예금입니다. 금융상품 중에서 예금 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단연코 높은 금리는 새마을금고라는 것을 다들 알고 계실 텐데요.
동기준(12개월 기준)으로 보았을 때 가장 높은 곳 예금 금리가 4.40%로 3개의 금고는 다음과 같습니다.
경북 영덕군 영해면에 위치한
영해 새마을금고 본점의 꿈드림 회전정기예탁금,
전북 정읍시 수성로에 위치한
정읍 새마을금고 수성지점의 Block예금,
경기 남양주시 별내면에 위치한
별내 새마을금고 본점의 정기예탁금
시중은행에서 가장 높은 예금 금리인 수협은행의 3.72%와 0.68%가 차이가 나며 금융권에서는 가장 낮은 편이기는 합니다(고금리 순서: 시중은행 → 농/축협 → 저축은행 → 신협 → 새마을금고).
예금 금리가 가장 낮지만 시중은행의 강점은 안정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고금리를 자랑하는 다른 금융권보다 관심을 보이는 고객들도 많습니다.
금융사 예금금리 확인 바로가기
새마을금고 예금금리 확인 |
신협 예금금리 확인 |
저축은행 예금금리 확인 |
농/축협 예금금리 확인 |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 1~10위까지 보았을 때 1 금융권(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NH농협은행)에 해당하는 은행은 3위와 10위를 차지하고 있는 NH농협은행의 NH올원 e예금과 NH왈츠회전예금 ll가 있으며, 9위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은행의 WON플러스예금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1~10위에 해당하는 예금 상품의 가입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아래 표로 정리했으니 참고해 주세요.
※ 아래 표의 상품명을 클릭하시면 가입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시중은행 정기예금 가입 방법 | |
온라인 가입만 가능 |
[수협은행 수내동금융센터] 헤이(Hey)정기예금 [농협은행 SK하이닉스지점] NH올원e예금 [전북은행 수원외국인금융센터] JB 다이렉트예금통장 [케이뱅크] * 코드K 정기예금 [SC제일은행 이천] e-그린세이브예금 [우리은행 이천금융센터] WON플러스예금 [대구은행] IM스마트예금 |
방문 가입만 가능 |
[광주은행 동탄] The플러스예금 |
온라인 /방문 가입 모두 가능 |
[산업은행 용인] KDB 정기예금 [농협은행 SK하이닉스지점] NH왈츠회전예금 ll |
※ [케이뱅크]-코드 K 정기예금은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가입 가능
시중은행
기간별 금리 비교
다음으로 시중은행 정기예금에 대해 기간별 금리를 비교해 볼 건데요.
가장 인기 있는 예치 기간과 예치 금액은 이 6개월과 12개월과 1,000만 원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놓고 중점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예치 혹시 예치 금액은 변경하고 싶으신 분이 계시다면 아래 링크에 들어가셔서 변경해 보세요. 예치 금액에 따라 금리가 변경되기 때문에 이점 참고 바랍니다.
6개월 VS 12개월
예치 기간을 6개월로 잡았을 때 정기예금 금리는 12개월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수협은행의 헤이(Hey) 정기예금은 같지만 그 외는 금리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기예금 금리가 가장 높은 수협은행 기준으로 1,000만 원을 예치하셨을 경우 6개월 후 세금을 제한 후 수령하시는 금액은 157,500원인데요. 첫 번째 목차에서 다루었던 이미지인 12개월 기준의 세후 이자(315,000원)의 절반인 157,500원 차이가 납니다.
6개월 기준을 12개월과 차이를 비교해 보자면 다음과 같은데요.
1. 광주은행의 예금 금리는 0.05% 하락
2. 농협은행의 농협 NH올원 e예금은 0.15% 하락
3. 대구은행의 IM 스마트예금은 3.55%로 동률
4. 12개월에서 보이지 않던 주식회사 카카오뱅크의 카카오뱅크 정기예금이 등장하고 농협은행의 NH왈츠회전예금 ll는 순위에 없음
5. 1 금융권은 우리은행의 WON플러스예금과 농협은행의 NH올원 e예금 2곳
지금까지 2024년 3월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의 예금 가입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포스팅 끝.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4월) 신협 예금금리 가장 높은 곳 순위 (0) | 2024.04.04 |
---|---|
(2024년 4월) 단위농협 정기예금 금리 순위 (0) | 2024.04.03 |
저축은행 정기예금 금리 순위 비교 (0) | 2024.03.20 |
새마을금고 예금금리 가장 높은 곳(3월 셋째 주) (0) | 2024.03.18 |
신협 정기예금 금리 기간별, 지역별 비교 (0) | 2024.03.13 |